in:
	Deutsch
	English
	español
	français
	italiano
	日本語 (ja)
	 한글 (ko)
	 中文 (zh)
ISO/IEC JTC 1/SC 35
사용자 인터페이스 
AFNOR
SC35 공식 웹사이트 | 회원국
| 작업그룹 | 출판된 표준 | 회의 
ISO/IEC JTC1/SC35의 활동 범위: 
특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 포함하는 사용자와 정보통신환경에서 입력과 출력 장치들을 모두 포함하는 시스템을 연결하는 사용자-시스템 인터페이스 분야에서의 표준화로서, 문화와 언어 적응성을 위한 JTC1 위원회의 요구사항을 우선적으로 만족시켜야한다.
그 활동 범위는 다음의 관련 영역을 포함한다:
-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접근성 (요구사항, 필요성, 방법들, 기술 및 보조기능)
-  문화와 언어의 적응성 및 접근성 (예를 들면 정보통신 기기의 문화 및 언어적 적응성의 평가, 일치감을 갖는 인간 언어의 등가성, 위치 요소, 음성 메시지 메뉴) 
-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상, 기능 및 속성
-  시청각, 촉각 및 그 밖의 감각 (예를 들면, 보이스, 비전, 움직임, 제스처)에 기반한 기기 및 방법 및 기술
- 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심볼, 기능 및 상호작용 (예를 들면 그림, 촉각 및 청각 아이콘들, 그래픽 심볼, 그 밖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들)
-  정보통신 환경에서의 시청각, 촉각 및 그 밖의 감각을 대상으로 하는 입출력 기기 및 방법 (예를 들면 키보드, 디스플레이, 마우스 등의 기기)
-  휴대 정보 단말기 및 원격 상호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
SC35 사업 계획
2008-2009과 작업 프로그램은
AFNOR에서 구할
수 있습니다. 
2001년부터 SC35 위원회는 36개의 출판된 표준과 기술보고서를
만들어 내었습니다.
작업 그룹
JTC 1/SC 35
위원회에는 7 개의 작업그룹이
있습니다 : 
회원국
SC35에는 다음과 같은 회원국이 참여한다:
P-회원국: 
프랑스 ( AFNOR ), 오스트리아 ( ON ), 캐나다
( SCC/CCN ), 중국 ( SAC ), 체코
( CNI ), 핀란드 ( SFS ), 독일 ( DIN ), 그리스
( ELOT ), 인도 ( BIS ), 이태리 ( UNI ), 일본 ( JISC ), 대한민국 ( KATS ), 루마니아 ( ASRO ), 스페인 ( AENOR ), 스웨덴 ( SIS ), 미국 ( ANSI ), 우크라이나 ( DSSU ) 
O-회원국: 
헝가리 ( MSZT ), 인도네시아 ( BSN ), 아일랜드
( NSAI ), 케냐 ( KEBS ), 네덜란드 ( NEN ), 폴란드 ( PKN ), 러시아 ( GOST R ) 
 
회의
향후 회의 일정: 본 회의 및 일반
오리엔테이션 회의(GOM) 
 
 
  | 2009-02-16/20 | 독일 베를린 (GOM) | 
 
  | 2009-08-22/26 | 캐나다 쌔스카툰 | 
 
  | 2010-02-22/26 | 유럽 (GOM) | 
 
  | 2010-08-23/27 또는2010-09-13/17
 | 아시아 또는 미주 | 
 
  | 2011-02-21/25 | 아시아 또는 미주 (GOM) | 
 
  | 2011-08 or 09 | 스웨덴 (임시) | 
지난 회의 결과: 
 
  | 2008-09-08/12 | 이태리 나폴리 | 결의문 N1330 | 
 
  | 2008-02-17/23 | 일본 후쿠오카 | 결의문 N1250 | 
 
  | 2007-08-20/24 | 태나다 퀘벡 | 결의문 N1200 | 
 
  | 2007-02-19/23 | 프랑스 파리 | 결의문 N1150 | 
 
  | 2006-09-04/08 | 대한민국 제주 | 결의문 N1053 | 
관련 정보
공개문서와 절차들은 AFNOR에서 구할
수 있습니다. 
모든SC35 위원화 문서들은 AFNOR에서 구할
수 있습니다. 
ISO/IEC
JTC 1 (정보기술표준)에도 역시 ISO
SC35 (사용자인터페이스
국제표준전문위원회) 관련된 웹페이지가
있습니다.